[북한 물가] 주목받는 전략자산 금과 비트코인
2025.03.03
![[북한 물가] 주목받는 전략자산 금과 비트코인 [북한 물가] 주목받는 전략자산 금과 비트코인](https://kordev.rfaweb.org/korean/weekly_program/c27dac8c-d480c5b4bcf4b294-bd81d55c-bb3cac00/north-korea-gold-price-bitcoin-crypto-currency-petro-dollar-02272025095926.html/@@images/f8fe7334-b9da-44c0-b106-3d3af87629ed.jpeg)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북한 물가’ 시간에 정영입니다. 오늘은 전세계적으로 쟁점이 되고 있는 금보유와 가상화폐 비축 움직임에 대해 전해드리겠습니다.
국제시장 금값이 오르는 이유
청취자 여러분, 요즘 사금가격이 많이 오르고 있지요? 왜 그러냐고요? 그 원인을 지금부터 하나씩 풀어드리겠습니다. 여러분 가운데 강에 나가 사금을 잡거나, 몰래 미광 분말을 가져다 집 뒤에서 마광기로 돌려 금을 채취하는 사람들은 금값이 올라 기쁘겠지만, ‘충성의 외화벌이’ 사금 계획에 쫓기는 사람들은 근심만 깊어갑니다. 충성의 외화벌이 금 목표를 하자면 강가에 직접 나가 금을 잡지 않으면, 대신 돈으로 바쳐야 하는데 금 가격이 자꾸만 오르니 조바심이 날겁니다. 현재 국제시장에서 금 가격은 1온스당, 즉 31그램은 2,914달러에 달합니다. 북한 주민들은 금을 직접 사고 팔지 못하고 중개인을 통해 중국 화교들에게 팔아야 하니 제가격을 받지 못합니다.
그러면 왜 금가격이 오를가요?
우선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금 비중을 늘이면서 지난 한해 금 가격이 40%나 올랐습니다. 세계 금협회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한달간 세계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량은 53톤에 달했습니다. 대표적으로 폴란드(뽈스까)가 21톤으로 가장 많았고, 우즈베키스탄이 9톤, 인도중앙은행이 8톤, 중국은 5톤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세계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금 가격이 2025년 말까지 온스당 3천 달러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앞다퉈 금을 사들이자, 국가들 사이에서는 “나만 뒤쳐지는 것 아닌가?”하는 포모(FOMO)현상이 금값을 들어올리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금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여러 신흥국가들의 탈달러화 움직임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미국 달러가 세계 기축통화로서 지위가 흔들리자,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가들은 달러대신 금을 전략준비자산으로 보유하기 시작했습니다. 러시아도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달러 대신 금을 모으고 있습니다. 원유 수출 대금을 미국 달러로만 결제하던 사우디 아라비아도 이제는 달러를 더 이상 받지 않기로 했습니다. 인터넷 사회관계망 서비스 X(옛 트위터)에는 미국과 사우디 사이 체결된 ‘페트로달러’협정이 사우디의 갱신 거부로 만료되었다는 소문이 퍼졌습니다.
관련기사
[북한 물가] 북한 주민 “외국인들은 어떻게 금 사고파나?”
미국 정치인 “금 팔아 비트코인 매수하자”
중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이 미국 국채대신 금을 매입하기 시작하자,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비트코인 전략준비자산화’를 핵심 공약으로 내걸고, 앞으로 비트코인을 금이나 외화처럼 적극 비축하겠다는 구상을 세웠습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친암호화폐 정치인으로 통하는 공화당 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은 “미국이 보유하고 있는 금의 일부를 매각하고 비트코인을 매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때 미국에서는 금 보유를 재조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정부효률성부’ 수장을 맡고 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포트 녹스의 금은 안전한가”라는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그곳에 금이 없다면 매우 화가 날 것”이라며 금괴 조사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포트 녹스(Fort Knox)는 미국이 대량으로 금을 보관하고 있는 중부지방의 이름입니다.
전세계적으로 금보유 순위를 보면 미국이 1등으로 약 8천톤, 그리고 중국은 2천280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약 100톤의 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실제로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를 사들이기 위해 금을 매각할 경우, 금값이 폭락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편 북한이 금을 얼마나 보관하고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북한에도 운산금광, 홀동금광 등 여러 금광이 있지만, 대부분 ‘노동당 통치자금’으로 조달되기 때문에 정확한 생산량을 알 수 없습니다. 김일성 주석은 생전에 “자본주의가 망하기 전에 금을 다 팔아 경제건설에 활용해야 한다”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음은 세계 주요 화폐들과 물가 움직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외환시장(www.x-rates.com)에 따르면 중국 위안화와 달러의 환율 2월 6일 기준으로 1대 7.25입니다. 달러 대 유로화는 1대 0.95, 일본 엔화는 1대 149엔입니다. 달러대비 한국돈의 환율은 1대 1433원입니다.
다음은 금 시세입니다. 2월 26일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순금 1트로이 온스(troy ounce)당 가격은, 즉 31.1그램은 2천928달러입니다.
한편 2월 26일뉴욕상업거래소(NYMEX)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가격은 1배럴(158.9리터)당 69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73달러입니다.
에디터 이진서, 웹편집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