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와 우리 생활] 북한 농촌, 비닐하우스 농사 인기

워싱턴-정영 jungy@rfa.org
2024.10.11
[경제와 우리 생활] 북한 농촌, 비닐하우스 농사 인기 북한 여성이 평양 외곽의 한 온실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
/AP

북한의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북한의 현실과 앞으로 미래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 경제와 우리 생활 진행을 맡은 정영입니다. 오늘은 북한의 비닐 하우스, 즉 온실농산물의 유통에 대해 남한의 통일연구원 정은이 연구위원과 알아보겠습니다.

 

기자: 연구원님 안녕하십니까?

정은이 연구위원: 안녕하세요

 

기자: 지난 시간에 북한 농촌마을의 비닐하우스를 언급했을 때 이제는 협동농장 땅까지 빌려서 온실농사로 돈을 벌 수 있는 사람들이 나타나고 있다는 이야기를 했는데, 그러면 농가에서 재배되는 상품 가격은 어떻게 책정이 됩니까?

정은이 연구위원: 이제는 북한도 휴대전화를 통해서 다 연계가 되니까 자연스럽게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도 교환을 할 수 있게 됐는데요. 그러니까 이것은 비단 도시만이 아니라 농촌도 조금씩 보급이 되기 시작하는데 왜냐하면 농촌에도 도시로 나간 자식들이나 친척들이 있으니까 당연히 연락해야 될 일들이 생기잖아요. 또 최근에는 어떤 재미있는 현상들이 있냐면 농촌 주민 간에도 서로 전화를 해서 가격 정보를 교환하는 거죠. 그러다 보니까 어떤 경우에는 이들이 서로 담합을 해서 도시 사람들을 속이는 거죠. 그 가격을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전에 핸드폰이 없을 때 농촌 사람들이 가격도 잘 모르고 당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뭐 잘 모르니까 당연히 도시 사람들은 서로 짜고 폭리를 취했고, 또 농촌 사람들은 내가 직접 장에 나가지 않는 이상 그 가격을 모르니까 속고 살 수밖에 없었습니다.

농촌 사람들 입장에서는 돈이 급하고 또 이동 수단도 원활하지 못하니까 당연히 부르는 게 값이고 그런 가격에 그대로 살 수밖에 없었습니다. 사실 농촌 같은 경우는 교통수단도 좋지 않고 또 있다고 해도 자전거밖에 없었잖아요. 그렇죠 그런데 자전거로 짐을 싣고 멀리까지 간다는 것 그 자체가 굉장히 물리적으로 한계가 많았잖아요.그래서 참 농촌 사람들이 속기 쉬운 그런 구조였는데 이제는 휴대전화가 있다 보니까 또 가격도 알게 되고, 그러다 보니까 좀 더 높은 가격에 팔 수도 있고, 그러다 보니까 당연히 농민들은 이제는 더 많이 더 생산하려고 하는 그런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는 거겠죠.

 

기자: 그러니까 결국엔 북한 농촌에서도 휴대전화 사용이 늘면서 이것이 북한 농촌마을의 비닐하우스 재배에 큰 한몫을 한다 그런 말로도 풀이될 수 있는데요.

정은이 연구위원: 네 그런데 이것은 단지 북한만이 아니라, 아프리카 같은 저개발 국가들의 예를 들어보면 휴대전화가 보급이 되면서 농촌 주민들의 생활 수익이 올라가는 그런 현상도 나타났는데, 바꿔 말하면 이것은 북한만의 현상은 아니라는 거죠. 또 그리고 또 어떤 게 있냐면 무엇보다 과거에는 농촌에서 크게 뭐 팔 게 없었잖아요. 그런데 이젠 북한에 분조관리제가 도입되면서 물론 이게 뭐 안 좋은 점도 있지만,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점이 있는데, 예를 들면 개인에게 땅을 분배해주고 수익 구조를 변화시켰는데 수익의 60%는 분조에 내고, 나머지는 농민들이 가져가는 그런 구조이다 보니까 어쨌든 농민들 입장에서는 좀 더 주어진 땅에서 더 많은 수익을 내기 위해 노력하고 그러다 보니까 더 좀 비싼 작물을 싣고 또 그러다 보니까 겨울에 작물들을 팔면 더 이익을 얻을 수 있으니까 좀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또 그런 하나의 구조가 만들어지는 측면이 있는 것 같아요. 그러한 분조관리제가 있기 때문에 북한에서 비닐하우스가 또 활성화된 측면이 없지 않아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기자: 그렇군요. 인공위성 사진으로 보면 북한에 하얗게 비닐집처럼 생긴 그런 온실들이 적지 않았는데, 그게 바로 협동농장이 운영하는 게 아니고 개인 농민들이 하는 것이다 이렇게 오늘 시간을 통해서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가 북한에 있을 때 신의주 시장이나 지방의 시장에는 겨울이 되면 과일들이나 온실 생산물들이 없었어요. 오이, 토마토, 쑥갓, 부루, 시금치 이런 것들이 굉장히 귀하거든요. 그래서 겨울에는, 이거 좀 새파한 것을 좀 먹었으면 좋겠다뭐 그런 바램이 있었거든요. 남한이나 미국은 뭐 그냥 사시장철 그냥 마트에 가면 푸른게 있지 않습니까? 그런데 북한의 경우에는 겨울에 김치밖에 없었어요. 그래서 김치가 반철농량이다는 그런 얘기도 있었고, 뭐 파란 풀을 먹을 수 없었는데 그때 당시 온실을 하게 되면 돈을 좀 벌 수 있겠다는 그런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게 1990년대 중반이었었는데 뭐 거의 20년도 지났는데, 지금은 많이 변했다고 생각됩니다.

정은이 연구위원: , 이렇게 비닐하우스 농사 하는 게 굉장히 자연스러운 현상이 됐는데, 사실은 1990년대에는 정말 생각지도 못한 그런 일이었는데 왜 이렇게 변화를 했을까 사실은 어떻게 보면 의식구조 자체도 좀 많이 변해야만이 이 비닐하우스가 좋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러다 보니까 전국적으로 급속히 퍼질 수가 있었다는 거죠. 예를 들면 어떤 한 지역에서 뭔가를 새롭게 했을 때 보니까 돈이 되는 거죠. 그러다 보니까 너도 나도 이걸 같이 하게 되는 그런 구조가 비단 비닐하우스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옷을 만드는 일을 하는 개인들이 뭐 옷을 만드는 것을 조그마한 가내 수공업처럼 그 집에서 하는 경우도 있고, 또 아니면 뭐 양말을 생산하는 곳도 있고, 또 아니면 뭔가 필요한 걸 만드는 그런 변화가 2010년 이후로 북한의 일어나기 시작을 했던 것 같아요. 그러니까 사실 북한의 무역 구조도 살펴보면 2010년 이후로 뭔가 중국에서 원부자재를 들여다가 이것을 국내에서 생산해서 국내 시장을 타겟으로 해서 판매하는 그런 변화가 생겼는데, 어쨌든 여러 방면에서 이런 움직임이 있었는데 이 중에 하나가 또 비닐하우스가 된 것 같아요.

 

기자: 그러니까 개인 수공업 그리고 사실 이게 시장 요소이지 않습니까? 개인이 수익을 창출해서 다시 재투자하여 수익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고, 그것을 또 국가에도 좀 바치는 그런 것이 좀 있어야 되지 않습니까?

정은이 연구위원: 국가에다 뭐 바쳐야 되는 건 없는 것 같아요. 왜냐하면 사실 북한이 유일하게 개인 소유를 인정한 것은 개인집 마당에 있는 30평 정도의 텃밭들은 다 개인 소유로 인정을 하고 또 거기서 거둬들인 농산물은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그런 어쨌든 그것만큼은 건국 초기부터 남아 있었잖아요.

그런데 그게 그대로 유지된 상황에서 단지 여기다 비닐하우스만 덧붙여서 겨울에 생산할 수 있게 되고, 또 겨울에 더 높은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고 뭐 이렇게 됐기 때문에 비닐하우스에서 뭔가를 생산했다고 해서 국가에 이걸 바쳐야 된다라는 건 없는 것 같아요. 그리고 비닐하우스에서 생산된 상품들이 시장에 나오기 시작했는데, 어떤 물건들이 팔리는지를 보면 대체로 북한 비닐하우스가 굉장히 많이 활성화되고 있다라는 걸 알 수 있는데 왜 우리 북한 시장 물가 조사하잖아요. 거기 그 중에 없었던 항목들이 이제 막 들어오기 시작하는 거죠. 그러니까 새로운 야채들 새로운 과일들 이런 것들이 북한 물가, 장마당 물가에 잡히기 시작을 했는데 그런 변화들이 다 이런 일련의 변화 속에서 나타나지 않나라는 생각을 합니다.

 

기자: 사실 미국에서는 야채값이 고깃값하고 거의 비슷하다 그런 얘기도 있거든요. 그만큼 남새 온실의 채소가 부가가치가 있기 때문에 북한 시장에서도 그런 수익이 높은 항목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정은이 연구위원: 이제 코로나19 시기에 국경이 막히면서 수입품 물자 가격이 상당히 많이 폭등을 했잖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보면 외부에서 보면 , 북한 내부가 정말 힘들고 굉장히 체제가 좀 어려울 것 같고 그 기반이 흔들릴 것 같다라는 생각을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쨌든 근근히 버텨온 그 원인 중에 하나가 이렇게 개인들이 생산물을 생산해서 판매하고, 또 비닐하우스도 오히려 이제 코로나19 기간에 더 많이 늘어나는 그런 변화들이 있었던 것 같아요.

기자: 오늘은 여기까지 듣고요. 다음 시간에 또 다른 새로운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오늘 수고하셨습니다.

정은이 연구위원: 네 감사합니다.

 

경제와 우리 생활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는 남한의 통일연구원 정은이 연구위원이었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정영입니다.

 

청취자 여러분 감사합니다.

 

에디터 이진서, 웹편집 김상일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