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0년 만의 군 시가행진…“북핵 사용시 정권 종식”
2023.09.26
앵커: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한국 군 건군 75주년 국군의 날을 맞아 시민들과 함께 시가행진에 참여했습니다. 북한이 핵을 사용하면 미국과 함께 압도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군 건군 75주년 국군의 날을 앞둔 26일,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시민들과 함께 기념 시가행진에 참여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비가 내리는 날씨에도 광화문 광장에서 이종섭 국방부 장관, 군 장성들과 함께 우산이나 우비를 착용하지 않은 채 행진했습니다.
한국 대통령실에 따르면 현직 대통령이 시가행진에 직접 참여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행진은 이날 오후 4시부터 서울 숭례문~광화문 일대에서 진행됐는데, 대규모 장비가 동원돼 국군의 날 시가행진이 실시된 것은 지난 2013년 이후 10년 만입니다.
이날 행진에는 3천7백여 명의 도보 부대와 이른바 ‘한국형 3축 체계’ 주요 장비를 운용하는 부대가 참여했습니다.
장거리 지대공유도무기(L-SAM), 패트리어트 미사일, 한국산 중거리 지대공유도무기인 ‘천궁’, 무인 잠수정, K9 자주포, 지대지 현무 미사일, 소형 무인기 등 46종에 걸친 170여 대의 장비가 동원됐습니다.
특히 은밀하게 개발된 무기를 뜻하는 이른바 ‘비닉 무기’인 고위력 ‘현무’ 미사일도 이 자리에서 최초로 공개됐습니다.
이 미사일은 지난해 국군의 날 기념식 영상에서 비행 장면이 4초 정도 공개된 것이 전부였지만 이번 행진에서 처음으로 실물을 보였습니다.
‘현무-5’로 불리는 신형 미사일은 탄두 중량만 8~9톤, 총중량은 36톤에 달하는 ‘괴물 미사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투부대원 등 주한미군 3백여 명도 이날 처음으로 시가행진에 참여했습니다.
한국 대통령실은 “서울 한복판 시가행진에서 육해공의 통합된 역량을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시킨 한국 군이 중앙청 건물 옥상에 태극기를 게양하며 서울을 되찾았던 곳에서 압도적인 위용을 과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국군의 날 기념행사에선 북한이 핵을 사용할 경우 정권을 종식시킬 것이라는 메시지를 내놓았습니다.
윤석열 한국 대통령: 북한이 핵을 사용할 경우 한미동맹의 압도적 대응을 통해 북한 정권을 종식시킬 것입니다.
윤 대통령은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한미일 안보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나아가 우방국들과 긴밀히 연대해 강력한 안보태세를 확립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핵무기가 자신들의 안위를 지켜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북한이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윤석열 한국 대통령: 북한 정권은 핵무기가 자신의 안위를 지켜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한국 군은 실전적인 전투 역량과 확고한 대비 태세를 바탕으로 북한이 도발해 올 경우 즉각 응징할 것입니다.
윤 대통령은 “한국 국민은 북한의 공산세력, 그 추종세력의 가짜 평화 속임수에 결코 현혹되지 않을 것”이라며 올해 70주년을 맞은 한미동맹이 한국 안보의 핵심축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미동맹은 핵을 기반으로 하는 동맹으로 고도화됐다”며 “한미 핵협의그룹(NCG)을 통해 미국 핵 자산과 한국의 비핵자산을 결합한 일체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한반도 역내에 수시로 전개될 미국 전략자산은 북핵 억지력을 강화시킬 것”이라며 “한미동맹 협력 범위를 우주와 사이버 영역으로 확대하고 연합훈련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미일 안보 협력에 대해서는 지난달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3국 정상회의를 언급하며 이를 계기로 한 협력체계가 북핵 억지력을 한층 더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강한 군대만이 진정한 평화를 보장한다”며 “국군 통수권자로서 적에게는 두려움을, 국민에게는 믿음을 주는 강한 군대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이날 국군의 날 행사에는 사상 처음으로 탈북 국군 포로인 유영복, 김성태, 김종수, 이선우 씨가 초청됐습니다.
국군포로가족회는 이에 사의를 나타내면서 국군포로와 그 가족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진상규명위원회 설치, 유엔 북한인권 결의에 구체적인 인권침해 사항 명시, 한국 국방부에 전담기구 설치 등을 요청했습니다.
에디터 목용재,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