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군, 실패한 북 위성 발사체 일부 인양

서울-한도형 hando@rfa.org
2023.05.31
한국군, 실패한 북 위성 발사체 일부 인양 합동참모본부는 31일 서해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서 북한이 쏜 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를 인양했다고 밝혔다.
/ 합동참모본부 제공

앵커: 북한이 정찰위성을 탑재한 것으로 보이는 발사체를 쐈지만 서해에 추락했습니다. 군은 신속하게 수거에 나섰고 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부유물을 인양했습니다. 서울에서 한도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31일 정찰위성을 탑재한 것으로 추정되는 우주발사체를 발사했지만 실패했습니다.

 

북한 관영매체는 이날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군사 정찰위성 만리경 1를 발사했지만 신형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1단 분리 후 2단 엔진(발동기) 시동 이상과 연료 불안정 등으로 추진력을 상실해 서해에 추락했다며 발사 이후 2시간 30여분 만에 실패를 공식 인정했습니다.

 

그러면서대책을 시급히 강구해 가급적 빠른 기간 내 제2차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합참은 이날 오전 북한의 발사체를 포착ㆍ추적했으며 북한이 쏜 발사체 1발이백령도 서쪽 먼 바다 상공을 통과해 전북 군산 서쪽에 위치한 섬, 어청도의 서방 200km 해상에 비정상적인 비행으로 떨어졌다고 밝혔습니다.

 

군은 동·서해 해상의 이지스함과 지상의 탄도탄 감시레이더 그린파인 등을 통해 북한의 발사체를 탐지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북한의 발사체가 낙하 예고지점에 도달하지 못한 채 레이더에서 사라지자 일찍이 발사과정 전반이 실패했을 가능성을 열어놓고 제원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군은 또 낙하한 북한의 발사체 잔해 수거에 나섰으며 서해 어청도 서방 해상, 한국과 중국의 중간해역에서 발사체의 1단 로켓과 2단 로켓 사이 원통형 연결단으로 추정되는 부유물을 인양했습니다.

 

합참 관계자는인양이 마무리되면 육지로 옮겨와 연구기관과 함께 정밀하게 기술 분석을 할 것이라고 밝혔는데 본격적인 분석이 진행되면 엔진 성능, 외국 부품 사용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국 국가정보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현안보고에서 이번 북한의 발사체에 탑재된 만리경 1는 길이 1.3m, 무게 300kg의 소형 저궤도 지구관측 위성으로 판단한다고 밝혔습니다.

 

국정원은 또 북한의 정찰위성이 동쪽으로 무리하게 경로를 변경하다가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고 동창리 발사장 인근에서 관람시설이 식별됐다며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발사를 참관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국회 정보위 여당 간사인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의 말입니다.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국회 정보위 여당 간사): 동창리 발사장에서 1.3㎞ 떨어진 관람대 인근에서 차량 및 천막 등 관람시설이 식별됐는데 국정원에서는 김정은 위원장이 현지에서 참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한국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조태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즉각 소집했습니다.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들은이번 발사가 성공 여부와 무관하게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자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도발"이라며 강력 규탄했습니다.

 

대통령실은 북한이 오는 6 11일 이전 또다시 발사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보고 대비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북한은 군사 정찰위성을 531 0시부터 6 11 0시 사이 발사하겠다고 통보한 바 있습니다.

 

이와 함께 국제사회의 규탄도 이어졌습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현지시간으로 30북한의 군사위성 발사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스테판 뒤자리크 유엔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북한이 이같은 행위를 중단하고 완전하고 검증 가능한 비핵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대화를 신속히 재개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고 전했습니다.

 

미국 백악관도 이날 아덤 호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위성 발사를 규탄했습니다.

 

백악관은 북한의 이번 발사가 다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해 지역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라고 지적했고 미국 본토와 한국, 일본 등 동맹국들의 방어를 보강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백악관은 그러면서 북한을 향해즉시 도발적인 행동을 멈추고 (협상) 참여를 선택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주한미군을 관할하는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 역시 성명을 통해미국 본토 및 한국, 일본 방위에 대한 미국의 공약은 철통같이 지켜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이날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의 도발을 강력 규탄하며 중국 베이징 대사관 경로를 통해 북한에 엄중히 항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밖에 김건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등 한미일 북핵수석대표는 이날 3자 유선협의를 갖고 대응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한미일 3국 수석대표는 북한의 추가 도발이 있을 경우 국제사회의 단호하고 단합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3국 간 긴밀한 소통과 공조를 지속해나가기로 했습니다.

 

한미일은 발사 원점, 비행 방향, 속도, 탄착 예상 지점 등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를 3국 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방안을 추진해왔는데 오는 6 2~4일 한미일 국방장관이 샹그릴라 대화를 계기로 회담을 갖고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 실시간 공유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한편 북한이 위성을 탑재했다고 주장한 발사체를 쏜 것은 2016 2 7일 광명성 4호 이후 약 7년 만입니다.

 

북한의 이날 발사체 발사는 지난 4 13일 신형 고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 18형 발사 이후 50여일 만의 도발이며 올해 들어 10번째 발사체 발사입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