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국가보위성이 주민 대상 강제실종 범죄 배후”

서울-이정은 leeje@rfa.org
2024.10.31
“북 국가보위성이 주민 대상 강제실종 범죄 배후” 체포, 연행, 북송 후 실종 시점의 관할기관
/TJWG ‘존재할 수 없는 존재: 북한 강제실종범죄 조사’ 보고서

앵커: 북한 주민을 대상으로 한 강제실종 범죄의 대부분이 북한 국가보위성의 관할 하에 자행되고 있다는 한국 시민단체의 보고서가 발표됐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인권조사기록단체인 전환기정의워킹그룹(TJWG)31일 발표한 존재할 수 없는 존재: 북한 강제실종범죄 조사보고서.

 

TJWG는 보고서에 20211월부터 올해 5월까지 한국에 정착한 탈북민 6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총 66건의 강제실종 사건과 113명의 실종 과정을 조사한 결과를 담았습니다.

 

이에 따르면 북한 주민을 대상으로 한 강제실종 범죄가 대부분 북한 국가보위성의 관할 하에 자행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가보위성은 TJWG가 이번 조사로 파악한 강제실종 피해자 113명 중 62명을 단독으로 체포·연행한 기관으로 지목됐습니다.

 

북한 내 다른 기관들 또는 외국 당국들이 체포·연행한 후 국가보위성으로 인계한 것으로 알려진 북한 주민이 실종된 사례까지 포함하면 총 92, 즉 전체의 81.4%가 국가보위성의 관할 하에서 강제실종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강제실종된 계기를 살펴보면 탈북으로 인한 강제실종이 39.8%로 가장 많았고 연좌제(25.7%), 한국 등 외부 연락접촉 혐의(8.8%), 김씨 일가와 체제 비판 혐의(7.1%), 종교적 혐의(5.3%)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피해자의 연령대를 기준으로 보면 20~30대 청년층이 38.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10세 미만 아동의 비중도 11.5%에 달했습니다.

 

피해자의 성별 기준으로는 남성이 58.4%, 여성이 41.6%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TJWG는 아르헨티나, 칠레, 과테말라 등의 경우 강제실종 피해자 중 여성의 비율이 최대 30%에 그쳤다며 이에 비해 북한 여성의 강제실종 비율이 높은 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는 탈북했다가 체포·송환돼 강제실종된 여성이 많기 때문일 수 있고 연좌제 때문일 수도 있으며 북한에선 직접적이고 명시적인 반체제 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강제실종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TJWG가 파악한 113명의 강제실종 피해자 중 20.4%는 중국, 러시아, 베트남 당국 혹은 해외로 파견된 북한 요원들에 의해 체포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박송아 TJWG 조사기록담당관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북한 주민 대상의 강제실종 범죄에서 중국, 러시아 등 국가들의 책임을 간과할 수 없다며 이를 초국가적 범죄로 규정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송아 TJWG 조사기록담당관] 중국이나 러시아 등 국가들도 분명히 북한에서 일어나는 강제실종에 대한 책임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북한에서 일어나는 강제실종 범죄를 초국가적인 범죄로 규정하고 대응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강제실종은 국가의 허가, 지원 또는 묵인 하에 개인이나 집단이 사람을 체포, 감금, 납치 등 형태로 자유를 박탈한 후 이를 부인하거나 실종자의 생사 또는 소재지를 숨겨 실종자를 법의 보호 밖에 놓이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2.jpg
북한 주민들의 강제실종 이유 /TJWG ‘존재할 수 없는 존재: 북한 강제실종범죄 조사’ 보고서

 

<관련 기사>

-한미, 유엔서북 억류자 즉각 석방해야

-“북 강제실종 범죄 책임규명·처벌 반드시 이뤄져야

 

엘리자베스 살몬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도 지난 29일 유엔 총회 제3위원회에 보고서를 제출하고 북한의 강제실종과 강제송환 후 고문 문제를 집중 조명했습니다.

 

특히 강제실종으로 인해 수많은 가족들이 분리됐다고 지적하며 피해자 가족들은 이로 인해 고문을 당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지적했습니다.

 

[엘리자베스 살몬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 강제실종으로 인 해 수많은 가족들이 분리됐습니다. 이는 엄청난 고통을 초래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의 운명이나 행방을 알지 못한다는 것은 괴로움과 슬픔을 야기하고 고문에 달할 수도 있습니다.

 

살몬 보고관은 그러면서 북한 내 인권침해 피해자에 대한 포괄적인 책임규명 절차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이를 위해 노력하는 동안 북한 외부에 거주하는 강제실종 또는 고문 피해자들에게 배상을 제공하고 이들이 겪은 피해를 치유하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이정은입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편집 김상일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