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월북미군 송환 때 미국과 직접접촉 거부

워싱턴-김소영, 서울-이정호 kimso@rfa.org
2023.09.27
북, 월북미군 송환 때 미국과 직접접촉 거부 지난 7월 무단 월북한 주한미군 트래비스 킹 이병의 모습이 한국 서울역 내 TV 뉴스에서 방송되고 있다.
/AP

앵커: 지난 7월 월북한 미군 병사가 70여일 만에 중국, 한국을 거쳐 미국으로 돌아옵니다. 미국 정부가 북한에 제공한 대가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북한 당국의 의도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7 17일 한국에서 미국행을 기다리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통해 월북한 트래비스 킹 미군 병사가 두달 여 만에 미국으로 송환됩니다.

 

백악관 및 국무부 고위관리들은 북한 관영매체가 추방 결정을 보도한 27일 기자설명회를 통해 킹 이병이 대북외교에 대한 미국의 이익보호국인 스웨덴(스웨리예) 정부의 중재 역할로 중국으로 넘어와 미 정부에 인계됐고, 현재 미국으로 송환되는 절차 중에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는 현재 건강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미 관리는 이 달 초 스웨덴 정부를 통해 킹 이병이 본국으로 돌아오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받은 후 본격적인 인도 협상에 나섰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정부는 킹 이병이 북한에서 중국으로 넘어오는 인계과정에 협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킹 이병의 월북 이유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미 관리는 킹 이병을 풀어주는 조건으로 북한에 제공한 것이 없다고 강조하면서 그가 안전하게 돌아오는 것에 대해 매우 기쁘다고 말했습니다.

 

미 관리: 킹 이병의 송환에 대해 북한에 양보(concession)가 있었냐는 질문에 대한 답은 간단합니다. 전혀 없습니다.

 

킹 이병이 미국으로 돌아오면 우선 신체 및 심리검사를 받고, 가족들과 먼저 재회한 후 월북에 대한 행정 절차가 시작될 예정입니다

 

같은 날 매튜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정례기자 설명회에서 현재 킹 이병이 27일 오전 북한에서 중국 단동으로 돌아온 후 항공편으로 선양으로 넘어간 후 한국의 오산 기지로 들어와 미 정부에 인계됐고, 현재 미국으로 돌아오는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밀러 대변인은 킹 이병이 북한에서 중국으로 넘어오는 과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지 못한다고 답했습니다.

 

그는 킹 이병이 월북한 직후부터 북한에 여러 외교창구를 통해 연락을 시도했지만 북한은 결국 스웨덴 정부를 통해 대화하길 원했다고 말했습니다.

 

밀러 대변인: 우리는 북한에 여러 차례 연락을 시도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우리의 직접적인 연락을 거부하고 결국 스웨덴과 대화를 나눴고, 스웨덴이 킹 이병의 송환 협상을 도왔습니다.

 

밀러 대변인은 북한이 킹 이병을 풀어주는 대가로 요구한 것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알수 없으나 미국 측에서 제공한 것이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킹 이병의 모친 클로딘 게이츠의 법적 대리인은 성명을 통해 게이츠씨는 잘 수행된 임무에 대해 미 육군과 모든 관계 부처에 영원한 감사를 전한다며 향후 당분간 가족들은 개인정보 보호를 요청했고, 게이츠씨는 어떤 인터뷰도 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AP 통신은 익명의 미 관리를 인용해 킹 이병이 27일 밤 사이 텍사스주 소재 육군병원으로 이송될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팀 이경하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