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북한 가상자산 탈취 심포지엄 “자금 차단 위한 노력”

워싱턴-김소영 kimso@rfa.org
2024.08.28
한미, 북한 가상자산 탈취 심포지엄 “자금 차단 위한 노력” 세스 베일리 미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가 지난 27일(현지시간) 외교부와 미 국무부 공공 주최로 미국 뉴욕 힐튼미드타운 호텔에서 열린 '북한 가상자산 세탁 차단 한미 공동 민관 심포지엄'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국무부와 한국 외교부는 27일 뉴욕에서 북한 불법 사이버 활동으로부터 가상 자산 산업 모호 및 북한의 자금 조달 차단을 주제로 3차 한미 민관 심포지엄’, 즉 대중 토론회를 공동 개최했습니다.

 

국무부는 28일 대변인 명의 성명에서 이 토론회는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해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려는 북한의 시도를 억제하기 위한 우리의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한미 양국은 전 세계 정부 및 양국 정부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이 행사를 소집했다민간 부문은 강화된 협력과 정보 공유를 통해 북한의 수익 창출과 가상 자산과 관련된 세탁 활동을 방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국무부는 “북한은 전 세계의 암호화폐 거래소, (다른 암화화폐간 거래를 가능하게 해주는) 브릿지, (암호화폐를 쪼개고 섞어 출처 파악을 어렵게 하는) 믹서 및 기타 관련 블록체인 기반과 같은 가상 자산 서비스 제공업체(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VASP)를 통해 수억 달러에 달하는 탈취 암호화폐의 이동을 은폐함으로써 대량살상 무기 및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계속 지원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유엔 대북제재위원회 산하 전문가단이 지난 3월 공개한 보고서를 인용해 북한의 사이버 행위자가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약 30억 달러에 달하는 가상 자산을 훔쳤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국무부는 이날 심포지엄에 30개국을 대표하는 중앙 집중식 가상 자산 서비스 제공업체를 비롯한 분산형 금융 기반업체, 블록체인 분석 업체, 기타 정부 관료 및 민간 부문 전문가가 포함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행사 중 한미 양국 정부의 업계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북한의 가상 자산 도용 및 세탁에 대한 최신 동향, 가상 자산 서비스 업체에 대한 북한의 사이버 위협 정보, 정부와 민간 부문 간 가상 자산 식별 및 세탁 방지 협력 방안 등에 대한 지침을 전달했다고 덧붙였습니다.

 

<관련기사>

국무부 관리 “북한 가상화폐 탈취 올해 더 늘 것”

미 재무 차관 “북, 탈취 암호화폐 현금화 못 하고 있어”

  

에디터 박정우웹편집 김상일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