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디오 수필] 청바지 생산과 北의 개혁∙개방 가능성
그렉 스칼라튜
2008.07.21
2008.07.21
청바지는 미국의 특징인 자유와 기업 정신을 상징하는 옷입니다. 청바지는 미국의 유명 기업가 리바이 스트라우스가 1873년에 발명한 것입니다. 처음에는 미국 서부 금광에서 일하던 광부를 위한 옷이었습니다. 1950년대와 1960년대 미국의 청소년들은 록 음악을 즐기기 시작하면서 젊음의 자유를 상징하는 옷으로 청바지를 입기 시작했습니다. 1980년대부터 유명한 옷 디자이너 ‘캘빈 클라인’ 회사는 청바지를 고급 명품으로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미국 회사인 ‘리바이스’를 포함하여 요즘은 값이 비싼 명품 청바지와 값이 저렴한 청바지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옛날 냉전시대때 청바지는 동유럽 젊은이들에겐 자유의 상징이었습니다. 북한과 상황이 가장 비슷하던 루마니아의 경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1970년대부터 루마니아 젊은이들은 암시장에서 구입한 미국산 청바지를 입으면서, 또 암시장에서만 구입할수 있는 서구 록 음악 음반을 들으면서 자유를 꿈꾸기 시작했습니다. 1970년대부터 루마니아 섬유 공장들도 청바지를 생산하기 시작했지만, 국산 청바지는 루마니아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그리 좋진 않았습니다.
옛날 공산주의 시대때 역시 루마니아에서도 다른 동유럽나라들처럼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가장 좋았던 청바지는 미제였습니다. 초등학교때부터 고등학교까지 모든 학생들은 교복을 입어야 했었지만, 반항하는 고등학생들은 상의는 그대로 교복에 하의는 청바지를 맞춰 입기도 하여 학교에서 야단을 맞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북한내에서 청바지를 생산하는 것은 현재 북한의 침체된 현실을 상징하는 발전으로 봅니다. 북한 정부는 외국인 투자를 유지하려고 하면서도 공산주의 독재 체제를 유지하려고 외부의 정치∙사회 영향을 막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지난 몇년동안 청바지뿐만 아니라, 편의점, 생맥주, 맥주집, 햄버거와 같은 자본주의 국가들의 상징들이 북한에도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현상이 사회.정치 개혁과 개방까지도 변화 가능할지 기대해 봅니다.
옛날 냉전시대때 청바지는 동유럽 젊은이들에겐 자유의 상징이었습니다. 북한과 상황이 가장 비슷하던 루마니아의 경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1970년대부터 루마니아 젊은이들은 암시장에서 구입한 미국산 청바지를 입으면서, 또 암시장에서만 구입할수 있는 서구 록 음악 음반을 들으면서 자유를 꿈꾸기 시작했습니다. 1970년대부터 루마니아 섬유 공장들도 청바지를 생산하기 시작했지만, 국산 청바지는 루마니아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그리 좋진 않았습니다.
옛날 공산주의 시대때 역시 루마니아에서도 다른 동유럽나라들처럼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가장 좋았던 청바지는 미제였습니다. 초등학교때부터 고등학교까지 모든 학생들은 교복을 입어야 했었지만, 반항하는 고등학생들은 상의는 그대로 교복에 하의는 청바지를 맞춰 입기도 하여 학교에서 야단을 맞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북한내에서 청바지를 생산하는 것은 현재 북한의 침체된 현실을 상징하는 발전으로 봅니다. 북한 정부는 외국인 투자를 유지하려고 하면서도 공산주의 독재 체제를 유지하려고 외부의 정치∙사회 영향을 막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지난 몇년동안 청바지뿐만 아니라, 편의점, 생맥주, 맥주집, 햄버거와 같은 자본주의 국가들의 상징들이 북한에도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현상이 사회.정치 개혁과 개방까지도 변화 가능할지 기대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