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4개국 거쳐 핵무기 장비 밀수”
2025-01-20
북한이 핵무기 개발에 필요한 장비를 들여오기 위해 4개국, 4개 대륙을 거쳐 이를 밀수했다는 미국 민간 연구기관의 보고서가 발표됐습니다.
김여정 ‘벨라루스’ 담화는 불쾌감 표시?
2025-01-20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미국과 한국, 일본이 아닌 벨라루스와 관련한 담화를 내놨습니다. 주요국에 대한 담화가 아니라서 이례적이란 평가가 나오는데요.
[질문있어요] 북한에선 김씨일가를 정말 신처럼 받들고 있나요?
2025-01-20
제가 얼마 전 인터넷에서 북한의 기독교 박해가 전 세계에서 가장 높다는 기사를 봤는데, 실제 그 통제 수위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해지더라고요. 북한에는 그럼 정말로 종교가 존재하지 않는 건가요? 그럼 혹시 북한에선 종교가 아닌 김씨일가를 신처럼 믿고 있는 걸까요?
[우리는 10년 차이] 소란한 자유, 조용한 억압
2025-01-20
다. 저는 생생히 기억하는데 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이 시작하면서 북한 당국은 주민들에게 10년만 허리띠를 조이면 ‘강성대국의 문이 활짝 열린다’고 선전했어요. 그것도 안 열리자 정말 주민들에겐 악만 남은 거죠.
[김연호의 모바일 북한] 미래망의 내리적재 속도
2025-01-21
북한에 와이파이, 공중 무선 자료 통신망이 도입된 지 벌써 8년이 됐습니다. 2017년에 평양에 ‘미래망’이란 이름으로 들어갔죠. 중구해양기술교류사가 개발해서 평양의 미래과학자거리에 망을 구축하고 이어서 김책공업종합대학과 영광거리, 여명거리로 봉사 범위를 넓혀 나갔습니다.
트럼프 “북, 핵 보유국…내 복귀 반길 것”
2025-01-21
미국 제47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핵 보유국’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 ‘nuclear power’라는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이에 한국 정부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미국과 긴밀히 공조할 것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습니다.
[문서로 보는 북한] 무한 소환되는 배신의 아이콘 ‘지갑룡’
2025-01-21
지구상에서 가장 폐쇄된 국가 바로 청취자 여러분이 살고 계신 북한입니다. 내부 문서를 통해 오늘이 북한을 만나보는 [문서로 보는 북한] 진행에 안창규입니다. 지난 시간부터 간부 당원 근로자 대상 학습 제강 <‘41년도 바람’의 주인공들이 지닌 투철한 혁명적 신념에 대하여>를 다뤄보고 ...
“북한군 포로, 대중의 호기심 대상 아냐”
2025-01-21
“전쟁포로는 대중의 호기심으로부터 항상 보호되어야 한다.” 제네바협약(제3 협약) 12조에서 명시하고 있는 조항입니다. 최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생포한 북한군 포로 심문 영상과 함께 이들의 얼굴을 공개했는데요. 한국 ‘북한인권정보센터(NKDB)’의 김유니크 ...
[노동신문 다시보기] 북, 반제계급교양 강화 주장
2025-01-21
1월 15일자 노동신문에 게재된 ‘높은 계급의식과 자기 것에 대한 사랑’이라는 기사입니다. 이 기사는 “반제계급투쟁이자 자기 자신의 운명수호전, 조국사수전임을 순간도 잊지 않고 투철한 계급의식으로 맡은 초소와 일터에서 혁신적 성과를 이룩해 나갈 때 우리의 창조와 건설은 가속화될 것이며 ...
한국 법원 “북, 탈북 국군포로에 2억여 원 배상해야”
2025-01-21
한국전쟁 당시 북한에 억류돼 강제노역에 시달린 탈북 국군포로들이 북한을 상대로 신청한 채권압류와 추심명령 신청을 한국 법원이 받아들였습니다. 북한을 대리하는 한국 내 기관이 대신 국군포로들에게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는 취지입니다.
[여기는 서울] 빛나는 마침표 (1)
2025-01-21
매년 1월은 새로운 한 해의 시작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마무리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한국의 유치원부터 북한의 소학교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그리고 대학교에서는 졸업식을 앞두고 있으니까요. 탈북 청소년들이 다니는 대안학교도 마찬가집니다.
북, 러·우 전쟁 ‘포병무력’ 강화 강조
2025-01-21
북한 당국이 최근 간부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강연에서 김정은 총비서의 군사중시 기풍 확립을 요구하면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한 ‘포병무력’ 강화를 강조했습니다.
전직 미 관리들 “트럼프, 북 핵보유 현실 언급”
2025-01-2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총비서에 대해 "nuclear power"(핵 보유)라고 말한 것은 북한의 핵무기 보유 현실을 말한 것인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미국 전문가들이 주장했습니다.
전 북 고위관리 “트럼프 북 콘도 언급은 외교적 메시지”
2025-01-2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식 직후 북한의 해안가 콘도를 언급해 그 배경과 의도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이번 발언은 단순한 즉흥적 발상이 아니라 과거부터 이어진, 맥락이 있는 외교적 메시지라고 전직 북한 관리는 분석했습니다.